<제국의 위안부>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찬동자의 댓글

●오카노 야요, 도시샤대학 교수 (岡野八代 同志社大学教授) 

 

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해 직시해야 하는 것은 일본군 성노예제라는 아직까지 법적으로 재판받지 않는 국가범죄 역사이며, 그 제도 밑에서 피해를 받은 여성들이 그 역사적 범최에 대해서 국가로서의 책임을 다하도록 호소했다는 점입니다. 그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녀들의 호소에 대하여 우리가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라는 물음이 던져지고 있습니다.

 

●나카노 도시오, 도쿄외국어대학 교수 (中野敏男 東京外国語大学教授) 

 

『제국의 위안부』 사태에 대해서 학문과 표현의 자유라는 관점으로만 접근하는 태도에 대해서는 깊이 우려한다는 성명을 강렬하게 지지합니다. 여기서 가장 깊게 배려되어야 하는 것은 일본군 '위안부'제도로 보다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한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 피해자가 '명예를 훼손되었다'고 호소했는데도 불구하고, 그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또한 '명예가 훼손되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고 일방적으로 단정해서 단지 '학문의 자유'만을 큰소리로 호소하는 일본과 미국 지식인54명의 '항의성명'은 인권침해에 저항하는 '학문의 자유'를 진정한 의미로 지키는 힘도 되지 않다고생각합니다. 일본에서도 『제국의 위안부』가 근거도 없이 피해자를 폄하는 저작인 것에 강한 비판이있고, 학문적으로도 계속해서 문제점을 밝히고 가려고 합니다.

 

●아키바야시 고즈에 (秋林こずえ 同志社大学教授)

 

일본군 성노예제도 피해자/생존자 분들이 지금도 견디지 않으면 안 되는 고통을 적음이라도 경감하여 없앨 수 있는 사회를 추구하는 학문연구에 계속해서 추진할 필요성을 느껴서 이 성명에 동참합니다.

 

 

●하야카와 노리요 총합여성사학회 전 대표 (早川紀代 総合女性史学会前代表)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은 일본군의 성폭력을 받은 여성들이 20년 이상 일본정부에 대해서 계속해서 요청해왔던 사항, 일본정부의 공적인 사죄와 배상을 실현시키지 않은 한 기본적으로는 해결의길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여성들이 가슴에 응어리를 안는 채 이 새상을 떠나고 계시는 것을 생각하면 더욱더 그렇게 생각됩니다.

 

●김부자 도쿄외국어대학 교수  (金富子 東京外国語大学教授)

 

이번 사태를 통해서 가장 존중되어야 하는 것은 피해 여성의 명예와 존엄입니다. '나눔의 집' 패해여성 9명이 『제국의 위안부』에 나오는 "동지적인 관계", "협력자" 라는 기술에 대해서 어쩔 수 없는마음으로 박유하씨를 명예훼손으로 고발한 곳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전에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씨가 출판금지사건에 대해서 "발표에 의해 고통을 당하는 인간의 이견 신청이 어디까지나 존중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언론의 자유, 출판의 자유의 인간적인 기반이 흔들리게 될 수있습니다"고 발언한 것 저런 이번 건에서 "고통을 당하는 인간"은 피해 여성입니다. 따라서 먼저 저자인 박유하씨는 피해여성에게 대해서 진지하게 사죄되어야 합니다.

 

●기타하라 미노리 작가 (北原みのり 作家) 

 

이 책을 둘러싼 일본사회가 지금 '위안부'문제를 어떻게 "보고 싶은지"를 표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일본 페미니스트 한 명으로 이 이상 방관하면 안 된다는 스스로의 반성도 포함해서 이 문제에진지하게 대응하려고 합니다. 가장 고통을 느꼈던 여성들을 또한 고통 시키는 담론은 그 이상 허락하면 안된다. 일본거주 페미니스트들과 함께 목소리를 낼 것입니다.

 

●김영 부산대

 

“박유하씨는 전시 성폭력이라는 인류에 대한 범죄를 범죄자를 ‘설득’해 외교적으로 해결할 문제라고보는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결코 외교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설혹 할머니들이 다 돌아가실 때까지 가해자의 책임 있는, 진정한 사죄와 배상을 받으실 수 없다 하더라도, 설혹 우리 세대가 죽을 때까지 해결하지 못한다 하면, 다음 세대가 이어서 계속 싸워야 해결해야 할 문제다. 40년가까이 일본제국주의에게 입은 피해와 상처를 드러내지도 못하고 힘든 삶을 영위해 오신 할머니들이이 문제를 전 세계인을 향해 말씀하시고 전쟁성범죄가 인류에 대한 범죄임을 모두가 인식할 수 있게 된 것 자체가 지난 30여년의 노력, 운동의 결과다.”

 

●김창록 경북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포함하는 ‘한일 과거청산’이라는 과제는 매우 덩치가 큽니다. 최소한 35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이어졌던 ‘과거의 역사’에 관한 과제입니다. 그 ‘과거의 역사’를 해결해야 했던, 하지만 결국 해결하지 못한 채 이어져온 70년이라는 또 하나의 ‘역사’에 관한 것이기도 합니다. 지난 70년간 수많은 외교적, 정치적, 사회적 갈등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매우 복잡한 법적 논란도 벌어졌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금도 커다란 아픔을 안고 살아가야 하는 피해자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방대하고도 복잡한 과제에 접근하는 ‘연구자’에게는 참으로 엄격한 학문적 자세가 요구됩니다. 이것이야말로 ‘<제국의 위안부> 사태’의 핵심입니다. 그래서 ‘<제국의 위안부>의 학문적 엄격성’을 점검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 작업은 <제국의 위안부>의 저자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자’ 모두의 ‘학문적 엄격성’을 묻는 작업이기도 할 것입니다.”

 

●배은경 서울대

 

“긴 긴 시간 침묵과 고통을 견디셔야 했던 분들, 그러나 꿋꿋이 살아내시고 그 존재로 역사의 증인이 되신 분들, 할머니들 덕분에 인류는 식민지배와 국가폭력, 전쟁 앞에 최하층 희생자로 지워져 간수 많은 여성들을 기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을 그 어떤 개인, 그 어떤 민족, 그 어떤 집단의 무엇으로든 박제하려 하는 모든 시도에 반대합니다.”

 

●이기홍 강원대

 

“학문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함의가 큰 사안들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주장을 내놓음으로써 사회적 약자들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은 학자로서 책임 있는 자세라고 할 수없다.”

 

●이나영 중앙대

 

“우선 지금 이 사태에 대해 할머니들의 마음이 어떨지 마음이 무겁다. 피해 당사자의 아픔을 외면한채 이들이 제기한 문제를 외부에서 문제 삼아 검찰 vs. 박유하 간의 문제로 호도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생존자들의 피해를 가중시키는 현실이 안타깝다. 무책임한 일본 정부가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임을 우리 모두는 직시해야 한다.”

 

●이명원 경희대

 

“학문적으로 많은 오류와 주관적 서사를 담고 있는 책이 논란을 불러일으킨다는 사실 자체에 분노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피해자중심주의를 견지하는 것이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간적 존엄을지키기 위한 노력에 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기여하고 싶다.”

 

●이재승 건국대

 

“유명한 촘스키는 프랑스의 수정주의자 포리송이 홀로코스트를 부인하는 언동으로 벌금형이 내려지고 대학강단에서 추방되자 그러한 결정을 비판하고 국제적인 구명대열에 동참하였다. (물론 유엔자유권위원회는 포리송을 처벌한 결정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결정하였다). 촘스키는 나중에 포리송의 저작을 읽어보았느냐는 질문에 문제의 저작을 읽지 않았다고 답했다.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단호하게 옹호하는데 그 발언의 내용을 알 필요가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맞다. 촘스키에게는 표현의 자유가 바로 진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면서 동시에 내용의 진리성까지옹호하는 것은 문제적인 태도이다. 12월 2일 다수의 한국의 저술가 및 학자들이 <제국의 위안부>의학문성을 언급하고 일본에서 중요한 저작상을 받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렇게 되면 이들은 상의권위를 빌어 그 책의 내용에 보증을 섬으로써 손에 흙을 묻히게 된 것이다. 우선 외교적으로 논란이계속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일본의 입장을 미리 보여주는 저작에 대해 일본 사회가 상을 주었다는점을 주목한다. 나아가 <제국의 위안부>에게 돌아간 그 상은 일본내에 통용되던 상식(자발적 매춘 프레임)을 근본적으로 뒤엎는 역사적 자료를 발굴했던 학자(예컨대, 위안부, 위안소는 일본군부가 기획 지시한 국가범죄라는 점을 논증한 요시미 요시아키)에게는 돌아가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한다. 누가 이해상충 국면에서 뉴욕타임즈를 믿고, 누가 아사히신문을 믿는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국적이나 민족주의 문제가 아니다. 전쟁과 식민지배 하의 여성인권의 총체적인 침해이고, 전쟁범죄, 또는인도에 반한 범죄이다. 그것은 일본여성이든 조선인 여성이든, 누구에게 가해졌던지 동일하다. 따라서 일본군인과 일본인 위안부 여성의 관계에서도 동지적 원형을 전제할 일이 아니라 그것도 (여성에대한) 인도에 반한 범죄였음을 통찰해야 한다. 뒤늦게 오는 역사는 더욱 혹독하게 과거의 진리를 들추어내도록 강제한다. 우리 모두는 추가학습이 필요하다.”

 

●정재원 국민대

 

“계급과 민족, 국가, 그리고 젠더에 대한 어설픈 이해가 잘못된 시각을 낳았고 중요한 문제들을 희석시키고 있다. 가난한 노동자, 농민의 아들이자 강제로 징집되었으며 인성이 성자와 같은 간디와같은 사람이라도 그가 식민지 민중을 살해하고 탄압하는 제국주의의 군대에 복무하는 한 그는 '제복입은 노동자'가 아니라, '제국주의 군대의 군인'으로 보아야 한다. 당연히 제국주의에 복무하는 한국남성 지배자들의 책임도 크다. 그렇다고 일본 제국주의의 만행을 희석시켜야 되겠는가? 이는 민족주의적 입장에서가 아니라, 보편적 여성인권의 입장에서 보아야 하는 문제다.”

 

●지은희 전 덕성여대 총장

 

“모든 연구주제와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의 주관의 산물입니다. 그런데 제국의 위안부의 저술 목적은 일본군 성노예제도의 책임이 일본정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 내는데 있는 것으로보이고, 더구나 지금까지 제출된 객관적 사료들도 검토하지 않음으로서 의도적으로 원하는 결론을도출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태도를 학문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보호해야 하는지는 의문입니다. 할머니들의 인권과 존엄성 명예는 학문의 자유를 위해 희생되어도 좋은 것인가요? 스스로 다시 자문해 보셨으면 합니다.”

 

<전 세계에서 보내 주신 의견 중 일부>

 

“가해자가 자신의 행위가 가해였음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현실을 바꾸지 않은 채 가해자와 피해자의 화해를 이루고자 하는 주관적 의도는, 객관적으로 가해자의 이익에 보다 유리한 어느 지점에서갈등을 봉합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추상적인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면서, 표현된 것이 '지금, 이곳'의 구체적 상황에서 도덕적, 정치적으로 의미하는 바에 대한 질문과 논쟁을회피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표현할 권리와 표현수단에 대한 접근성을 더 많이 향유하고 있는 집단을옹호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는 과거사 문제에 미온적인 일본 정부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고, 한일 양국 지성들 간의 학문적 토론과 논쟁을 통해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박유하의 책도, 검찰 기소를 가지고 일본에서 큰 이슈를 만드는 것도 모두 일본 정부의 5억달러 예산을 통해 이루어지는 역사왜곡 활동의 일환이라고 봅니다. 홀로코스트의 경우처럼 역사적 사실 자체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 주도로 철저한 진상규명이 먼저 이루어져야하겠지요. 철저한 진상규명은 한국정부와 일본정부간에 진행되고 있는 협상에서 다루어져야 할 첫번째 주제이지만, 그닥 희망적이진 않지요. 그렇다 해도 끊임없이 근본문제에 대해 제기하고, 관심을환기시키는 것은 중요하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Justice delayed because justice denied. Our history books must reflect the truth of the 'Comfort Women' story. No woman or girl should ever have had to endure this crime.Never again.”

 

“I support a site for a fully transparently academic, scholarly interrogation into the question of state responsibility of comfort women crime. The UN bodies and scholars have established undeniable facts of state responsibility and yet this debate ensues. If found guilty of intentional denialism, Japan should be held fully accountable for

distortion of facts and negligence of the truth in addition to compensation and full apology to the victims.”

 

“한일 양국의 미래라는 공익을 위해 반드시 바로잡고 해결해야할 문제입니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픔이 치유되고 이 문제가 정의롭게 해결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위안부 할머니의 증언 녹취록을 박유하교수가 당사자 허락 없이 임의로 편집, 발췌, 발표한 사건... 기초적인 "연구윤리" 위반에 해당되는 내용인데, 그 연장선상에서 향후 <제국의 위안부>의 내용적, 연구방법적 차원에서의 총체적이고 정교한 분석과 공개적 토론이 필수적이라 판단됩니다.”

 

“피해자인 할머니들의 눈으로 봅시다.”

 

“저는 전문가도 연구자도 아니지만 박유하교수의 책을 읽어서 처음 페이지부터 위화감을 느끼고, 읽어나가기가 괴로웠습니다. 어떻게 해서 개략을 읽었지만. 이러한 내용이 일본의 양심적인 지식인 (게다가 우리가 신뢰하는 분들)에게 평가 받고 있는 것에 매우 놀라웠습니다. 아사히신문이 출판했다는것도 아주 의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표현의 자유를 절대적 정의로 하면서 스스로의 입장성을 묻지 않는 일본의 일부 학자들에게화가 납니다.”

 

“성폭력 범죄의 재판에서 자주 ‘합의유무’가 쟁점이 되곤 합니다. 성폭력 피해자가 공포를 느낀 나머지 별로 저항을 못했다, 인간성을 부정당한 나머지 ‘내가 나빴던 것이 아닐까’라고 혼자서 괴로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에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는 그러한 성폭력 피해자를 계속해서고통 속에 놓아둔 수사법을 전시 성노예라는 국가에 의한 성폭력에 대해서까지 적용시킨 것으로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국의 위안부> 사태에 대한 입장에 동참하여, 공개토론회를개최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출처: "제국의 위안부'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찬동자의 댓글

『帝国の慰安婦』を取り巻く論争に対する賛同者のコメント

http://maeda-akira.blogspot.jp/2015/12/blog-post_33.html